고수익 투자에 몰리는 2030
주최 | THEPOL
진행기간 | 2021/06/28 12:30 ~ 2021/06/30 20:30
01
/
코인·부동산·주식 등 자산시장에 빚내서 투자해 본 경험이 있다
02
/
가장 선호하는 투자 종목은?
02. 부동산(아파트, 수익형 상가, 오피스텔 포함)
9.79%
03
/
투자했다면 투자액 규모는?
02. 100만원 ~ 1,000만원
34.79%
04
/
앞으로의 투자 계획은?
01. 투자 실패를 많이 겪어서 앞으로는 투자를 안할 계획
6.35%
02. 현재 굴리고 있는 자금을 그대로 유지할 계획
37.84%
03. 소액을 계속 넣어 적금식으로 투자할 계획
37.13%
04. 빚을 내더라도 추가적인 목돈을 넣어 대량 투자할 계획
7.12%
05
/
젊은 세대가 고수익 투자에 몰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?
01. 월급으로는 집을 살 정도의 목돈을 모으기 힘들어서
36.14%
02. 성공사례를 보며 ‘나도 할 수 있다’고 생각해서
18.18%
03. 주변 사람들이 모두 투자에 뛰어드니 ‘뒤쳐질 수 없다’고 생각해서
14.08%
04. 돈을 빨리 모아 직장을 그만두고 삶을 즐기려고
13.5%
05. 높은 취업난 때문에 취업을 포기하고 투자 시장에서 돈을 벌려는 사람이 늘어서
13.02%
06
/
앞으로도 코인·부동산 등 고수익 투자를 선호하는 형상이 계속될 것인가?
01. 월급이 자산시장 증가세를 못 따라 가는 게 일반화 됐다. 때문에 고수익 투자에 뛰어드는 사람은 더 많아질 것이다
53.5%
02. 고수익 투자를 원하는 사람은 많으나 정부 규제 등 현실적인 한계 때문에 지금 현상을 유지할 것이다
22.35%
03. 현재 과열된 시장은 비정상적인 현상이므로 곧 사라질 것이다
10.76%
07
/
젊은 세대가 고수익 투자에 몰리는 현상을 어떻게 생각하는가?
01. 투자 하려는 인간의 욕망에 기인한 정상적인 현상이다
28.54%
02. 비이성적으로 과열된 것은 분명하나, 젊은 세대가 돈을 모을 방법이 없으므로 막을 수 없다
48.44%
03. 투자 경험이 적은 젊은 세대가 무모하게 투자하는 것이므로 막아야 한다
14.83%
08
/
젊은 세대가 고수익 투자에 빠지면서 사회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. 이를 막기 위해서 정부는 어떤 정책을 취해야 할까?
01. 초·중·고 정규 교과 과정에 투자·자산 교육 추가
10.04%
02. 무분별한 대출하지 못하도록 규제
11.3%
03. 암호화폐 투자자 보호 강화
17.91%
04. 스캠(사기) 막도록 코인 거래소 등 사업자 규제 강화
16.25%
06. 청년 실업률 완화해 안정적인 근로 환경 조성
18.29%